티스토리 뷰
반응형
itx마음을 무엇이고 운행노선, 정차역, 예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ITX마음은 무엇인가(운행노선,정차역,예매방법)
ITX-MAUM은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명칭입니다. 노후화된 무궁화호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한 열차로, 2023년 9월 1일부터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중앙선, 동해선, 영동선, 태백선, 대구선에서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법적으로 등급은 ITX-새마을과 동일하며 요금은 기존 ITX-새마을과 동일한 요율로 책정되었습니다. 다원시스에서 제작한 트렁크 전기차(EMU-150)가 운행합니다.
운행 노선
2025년 1월 1일 기준 ITX-마음이 운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선구간열차번호 비고
경부선 | 서울 - 부산 | 1101~1108 | |
동대구 - 부산 | 1132, 1133 | ||
호남선 | 용산 - 익산 | 1141, 1142 | 계룡 정차 |
용산 - 목포 | 1161~1164 | 계룡 통과 용산~익산 구간은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가 중련 운행한다. |
|
장항선 | 용산 - 홍성 | 1151~1153 | |
전라선 | 용산 - 여수엑스포 | 1181~1184 | 계룡 통과 용산~익산 구간은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가 중련 운행한다. |
동해선 | 동대구 - 부전 | 1172, 1175 | |
동대구 - 강릉 | 1241, 1260, 1261 | 평일에만 운행: 1241 주말에만 운행: 1261 |
|
부전 - 강릉 | 1233~1234, 1250~1257 | 평일에만 운행: 1233~1234 주말에만 운행: 1253~1254 |
|
영동선 ㆍ 태백선 | 청량리 - 동해 | 1191, 1192 | |
중앙선 | 청량리 - 안동 | 1200, 1205 | |
청량리 - 부전 | 1201~1204 | ||
서해선 | 서화성 - 홍성 | 1270, 1277 | |
평택선(순환) | 홍성 - 홍성 | 1290, 1295 |
정차역
2025년 1월 1일 기준 ITX-마음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필수 정차역은 굵은 글씨로 표현했다. 호남선 용산발 목포행/목포발 용산행 열차와 전라선 용산발 여수엑스포행/여수엑스포발 용산행 열차는 용산역부터 익산역까지 중련 운행한다.
- 경부선 :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청도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1] - 천안 - 조치원[2]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3]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4] - 일로[5] - 목포
- 전라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6] - 천안 - 조치원[7] - 신탄진 - 서대전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8] - 구례구[9]-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중앙선: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양동 - 서원주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군위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태화강- 남창- 기장-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동해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남창 - 센텀 - 신해운대 - 부전 /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추암 - 삼척해변 - 삼척 - 근덕 - 임원 - 옥원 - 흥부 - 죽변 - 울진 - 매화 - 기성 - 평해 - 후포 - 고래불 - 영해 - 영덕 - 월포 - 포항 - 서경주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삼척해변 - 삼척 - 흥부 - 울진 - 기성 - 후포 - 고래불 - 영해 - 영덕 - 월포 - 포항 - 서경주 - 영천 -하양 - 동대구
평택선(순환): 홍성 - 삽교 - 예산 - 신례원 - 온양온천 - 아산 - 천안 - 평택 - 안중 - 인주 - 합덕 - 홍성
예매하는 방법

Itx는 지정 좌석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탑승하려면 미리 예약을 해야 합니다.
가장 편리한 예약 방법은 역 내 자동화기기나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Itx 청소년 자유석은 입석으로 볼 수 있으며, 열차 통로나 객실 중앙에 좌석이 있는 공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자유석은 모바일 예약이 불가능하므로 역사상 자동화기기를 이용해야 합니다.
요금은 일반 좌석과 동일하며, 만석 시 자유석을 이용하면 좋습니다. 선착순으로 자유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서서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렛츠코레일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도 예약이 가능합니다. 출발 및 도착 역, 여행 날짜와 시간을 신중하게 결정한 후 좌석을 선택하면 모바일 티켓을 받을 수 있습니다.
렛츠코레일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도 예약이 가능합니다. 출발 및 도착 역, 여행 날짜와 시간을 신중하게 결정한 후 좌석을 선택하면 모바일 티켓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별도로 출력할 필요 없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좌석이 없는 경우 조기 열차나 비인기 시간대를 타겟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