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T. 바넘의 역사적 배경과 위대한 쇼맨의 영감
피니어스 테일러 바넘(Phineas Taylor Barnum, 1810–1891)은 미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선구자이자 흥행업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힙니다. 그는 코네티컷주 베델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적부터 사업가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그는 다양한 사업 시도를 통해 경험을 쌓았으며, 결국 뉴욕에 바넘 미국 박물관을 설립하게 됩니다. 이 박물관은 단순히 전시물만 보여주는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특이한 전시물과 "괴물 쇼(freak show)"로 유명해졌습니다. 그의 박물관은 왜소증을 가진 '톰 썸'과 같은 독특한 인물을 소개하며 대중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바넘은 또한 바넘 & 베일리 서커스를 창립하며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흥행사가 되었습니다. 그의 서커스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이었던 이동식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다양한 도시에서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그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법을 알았으며,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쇼"라는 슬로건을 통해 대중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바넘의 행보는 논란의 여지가 많았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그가 공연자들을 착취하거나 허위 광고를 사용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의 유명한 표현인 "1분마다 호구가 태어난다(There’s a sucker born every minute)"는 그의 사업 철학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영화 위대한 쇼맨은 바넘의 생애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그를 이상적인 인물로 묘사하며 실제 역사와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영화는 바넘을 포용적이고 이상주의적인 인물로 그려내며, 다양성과 자기 수용, 그리고 꿈을 추구하는 이야기에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낭만적이고 희망적인 이야기는 전 세계 관객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2. 위대한 쇼맨 제작 비하인드: 도전과 성공
영화 위대한 쇼맨은 7년에 걸쳐 제작된 열정 프로젝트로, 배우 휴 잭맨의 노력과 열정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단순히 주연 배우로서의 역할을 넘어, 이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 제작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오리지널 뮤지컬 영화는 현대 영화 시장에서 드문 장르였으며, 그만큼 큰 도전이 따랐습니다. 각본은 제니 빅스와 빌 콘돈이 맡아, 실제 바넘의 생애를 기반으로 감정적이고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냈습니다.
감독 마이클 그레이시는 이 영화로 장편 영화감독 데뷔를 했으며, 그의 시각적 효과 전문가로서의 배경은 영화의 화려한 비주얼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실사 세트와 CGI(컴퓨터 그래픽)를 결합하여 서커스의 세계를 생생하게 구현했습니다. 안무가 애슐리 월렌(Ashley Wallen)은 전통적인 뮤지컬 춤과 현대적 댄스를 조화롭게 결합해 관객들에게 신선하고 역동적인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이 영화의 음악은 라라랜드의 음악 제작팀인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이 맡았습니다. 그들은 현대적이면서도 감정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음악을 제작했으며, 영화의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This Is Me"와 같은 곡은 영화의 주제를 완벽히 표현하며 전 세계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제작 과정에서 예산 문제, 역사적 사실과 창작적 상상력 간의 균형 등 여러 도전 과제가 있었지만, 영화는 결국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3. 사운드트랙: 위대한 쇼맨의 감정과 서사의 핵심
위대한 쇼맨의 사운드트랙은 영화의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이 작곡한 이 앨범은 감정적인 멜로디와 강렬한 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곡은 영화의 주제를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첫 곡인 "The Greatest Show"는 영화의 오프닝과 피날레를 장식하며, 바넘의 에너지와 비전을 강렬하게 전달합니다. 이 곡은 영화의 화려한 분위기를 설정하며 관객들을 바로 몰입하게 만듭니다.
"A Million Dreams"는 어린 바넘의 꿈과 희망을 노래하며, 그의 열정과 상상력을 보여줍니다. 이 곡은 바넘의 어린 시절과 성인기의 연결 고리를 형성하며, 그의 삶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This Is Me"는 서커스 공연자들이 자신들의 개성을 받아들이고 세상에 맞서는 장면에서 사용되며, 영화의 핵심 메시지인 포용성과 자기 수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곡은 골든 글로브 주제가상을 수상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또한 "Never Enough"는 제니 린드의 공연 장면에서 그녀의 내적 갈망과 바넘의 야망을 표현하며, 감정적으로 가장 강렬한 순간을 제공합니다. "Rewrite the Stars"는 잭 에프론과 젠데이아가 부른 로맨틱 듀엣곡으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려는 사랑을 이야기합니다. 이 앨범은 2018년 전 세계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작품으로 남아 있습니다.